운전면허증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반드시 갱신해야 한다.
갱신 기간을 놓치면 과태료가 부과되거나 면허 취소까지 될 수 있으므로,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.
이번 글에서는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과 비용, 준비물을 자세히 정리해 보자.
1. 운전면허증 갱신 주기 및 기간
운전면허증 갱신 주기는 면허 종류 및 운전자의 연령에 따라 다르다.
• 일반 운전면허(1종 보통, 2종 보통 등) : 10년마다 갱신 (단, 65세 이상은 5년마다 갱신)
• 1종 대형 및 특수 면허 : 10년마다 갱신
• 초보 운전자(적성검사 대상) : 취득 후 1~2년 내 갱신
▶ 갱신 가능 기간
면허증 갱신은 만료일 전 1년부터 가능하며, 만료일 이후 1년이 지나면 면허가 취소될 수 있다.
2.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
운전면허증 갱신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다.
▶ 온라인 갱신 방법 (도로교통공단 e-운전면허)
• 도로교통공단 e-운전면허 홈페이지 접속
• 본인 인증 후 "면허증 갱신" 신청
• 갱신 수수료 결제
• 면허증을 우편으로 수령 또는 경찰서 방문 수령
※ 단, 적성검사 대상자는 온라인 갱신이 불가하므로 직접 방문해야 한다.
▶ 오프라인 갱신 방법 (운전면허시험장 방문)
• 가까운 운전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서 방문
• 신분증 및 준비물 제출
• 갱신 신청서 작성 후 수수료 납부
• 면허증 발급
https://www.safedriving.or.kr/
한국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
www.safedriving.or.kr
3. 운전면허증 갱신 시 필요한 준비물
갱신 대상자에 따라 준비물이 다르다.
▶ 일반 갱신자 (적성검사 대상 아님)
• 신분증(주민등록증, 기존 운전면허증)
• 여권용 규격 사진 (3.5cm × 4.5cm) 1매
• 갱신 수수료 (8,000원)
▶ 적성검사 대상자 (1종 면허, 65세 이상 등)
• 신분증(운전면허증)
• 여권용 사진 2매
• 건강검진 결과서 또는 병원 진단서
• 갱신 및 적성검사 수수료 (12,000원)
※ 건강검진 결과서는 최근 2년 이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결과로 대체 가능
4. 운전면허 갱신 비용
면허 갱신 시 발생하는 비용은 다음과 같다.
• 1종 보통 및 2종 보통 갱신 비용 : 8,000원
• 1종 대형, 특수면허 갱신 비용 : 12,000원
• 적성검사 비용 : 병원별 상이 (건강검진 대체 가능)
• 면허증 재발급 수수료 : 10,000원 (분실 시)
온라인 갱신 시에는 우편 배송비가 추가(약 3,500원)될 수 있다.
5. 운전면허 갱신 기간 놓쳤다면?
갱신 기간을 넘긴 경우, 최대 1년까지는 과태료를 내고 갱신 가능하다.
▶ 과태료 기준
• 만료 후 1개월 이내 : 30,000원
• 만료 후 1~6개월 이내 : 60,000원
• 만료 후 6~12개월 이내 : 100,000원
▶ 면허 취소 후 재발급 방법
• 면허 취소 후 1년 이내 : 면허시험장 방문하여 갱신 절차 진행 (추가 비용 발생)
• 면허 취소 후 1년 초과 : 운전면허시험(필기+실기)을 다시 봐야 함
6. 운전면허증 갱신 시 주의할 점
• 갱신 기간을 놓치면 과태료가 부과되거나 면허가 취소될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자.
• 적성검사 대상자는 건강검진 결과서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.
• 온라인 갱신은 일반 갱신자만 가능하며, 적성검사 대상자는 반드시 방문해야 한다.
• 면허증 분실 시 재발급을 먼저 받은 후 갱신 진행이 가능하다.
7. 결론
운전면허증 갱신은 간단한 절차이지만, 기간을 놓치면 불이익이 크므로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.
일반 갱신자는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, 적성검사 대상자는 건강검진 결과서를 준비해야 한다.
운전면허증 갱신을 앞두고 있다면 기간을 확인하고,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여 불이익을 피하자!
'삶의이모저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집마련 디딤돌대출 _ 조건 신청방법까지 한번에 정리 (0) | 2025.03.16 |
---|---|
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방법 꿀팁공개! (1) | 2025.03.15 |
근로자녀장려금 신청과 혜택 (0) | 2025.03.15 |
주택연금 신청 방법 : 자격 조건부터 절차까지 (0) | 2025.03.14 |
노후 준비, 주택연금이 정말 답일까? 장단점 총정리 (0) | 2025.03.14 |